Gyeong-jak BAHK     박경작

Parallax     시차
22 Oct - 15 Nov, 2025
The world is black. Only its outlines remain—black, and black again. Wherever one looks, there is nothing but darkness, and one can no longer tell where to place one’s feet. The nose and ears are of no use; there is no scent, no sound. Such is blackness. Yet above this darkened world, where all sensation has fallen silent, the sky is astonishingly majestic. It is white, yet yellow, red, and at once green. It seems to emit a radiant light, as though wishing to purify the blackened earth below.In the face of this striking opposition between profound darkness and dazzling brilliance, one senses a kind of inverted parallax.

Darkness deepens the light, and light thickens the dark. Gyeong-jak BAHK understands painting within such a world of contrasts—as a medium of truth. For him, painting is a passage that reveals the essential order beyond the imperfection of the senses. This passage always lies between light and darkness. Their opposition is not merely chromatic, but akin to the clash and entanglement between the finite and the infinite. It is neither a scene of apocalypse nor a promise of salvation. The dark earth and the luminous sky coexist in tension, neither consuming the other. Naturally, the works call for silence rather than logic, for resonance rather than explanation. The viewer moves from the position of a mere observer to that of a respondent, passing between light and darkness within their own time and experience. In BAHK’s paintings, truth does not speak as a singular revelation but emerges as an individual experience—appearing, as it were, through a temporal and perceptual shift. It is a paradoxical journey towards the reality of being, traced through the very phenomenon of parallax.

Perhaps it can never be reached. Every light burns itself out, sinking into darkness; every darkness, within itself, stirs into the faintness of light. On that fragile threshold, the world stands still, and being turns momentarily transparent. His painting contemplates and reflects on that instant of transformation. Near, yet distant.
온 세상이 검다. 윤곽만 남았을 뿐 그저 검고 또 검다. 어디를 보아도 검기에 어디로 발을 내딛어야 할지조차 알 수 없다. 코와 귀가 있으나 아무 냄새도 없고 아무것도 들리지 않으니 무용지물일 뿐이다. 검은색은 이런 것이다. 감각이 무화된 어두운 세상을 발밑에 둔 하늘은, 그러나 놀랍도록 장엄하다. 흰색이지만 노란색이며 붉은색이고 동시에 초록색이다. 검게 물든 세속을 정화하고자 휘황한 빛을 발하는 듯하다. 이처럼 깊은 어둠과 눈부신 광휘의 더없이 현격한 대비 앞에서, 일종의 역전된 시차(視差)를 감지한다.

어둠은 빛을 더욱 깊게 만들고 빛은 어둠을 한층 짙게 만든다. 박경작은 이러한 대비의 세계 속에서 회화를 진리의 매개체로써 이해한다. 그에게 회화는 감각의 불완전함 너머에 있는 본질적 질서를 드러내는 하나의 통로이다. 그 통로는 언제나 빛과 어둠의 대립 사이에 존재한다. 이 대립은 단순한 색채의 대비가 아니라 유한함과 무한함의 충돌과 엉킴 같은 것이다. 이것은 종말의 장면도, 구원의 약속도 아니다. 검은 땅과 빛나는 하늘은 서로를 삼키지 않으며 긴장 속에 공존한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논리보다 침묵을, 설명보다 감응을 요구한다. 관람자는 보는 자에서 응답하는 자로 이동하며, 각자의 시간과 경험 속에서 빛과 어둠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유일자의 전언이 아니라 단독자의 경험으로, 박경작의 회화 안에서 진리는 이렇게 시차적으로 드러난다. 시차를 통해 존재의 실재를 향해 나아가는 역설적 여정인 셈이다.

어쩌면 끝내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 모든 빛은 스스로를 소진하며 어둠 속으로 스며들고, 모든 어둠은 그 안에서 미세한 빛으로 깨어난다. 그 경계 위에서 세계는 잠시 멈추고, 존재는 한순간 투명해진다. 그의 회화는 그 전환의 찰나를 응시하고 소회한다. 가깝지만 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