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 Sodam     임소담

Horizon     수평선
17 Jul - 16 Aug, 2024
The horizon—where the sky and the sea converge in the distance and never comes closer no matter how close we approach it—is something we cannot physically reach or grasp. Within the cognitive framework of space and time, the existence of that exquisite and beautiful thin line isn’t a matter of location and distance. Nevertheless, our eyes perceive the horizon distinctly; its existence is visually evident. The same applies to the rippling water surface, which continually reflects and refracts light moment by moment. Due to the constant overlap of its interior and exterior, the water's surface is not the water itself, yet it is neither entirely within nor outside of it. However, we always gaze upon the water's surface. This exhibition, Horizon, which represents this elusive yet visually clear ambiguity, is therefore inherently pictorial.

Pictorial representation essentially begins by capturing a visual object with paint on canvas. As previously discussed, the horizon or water surface are not entities that can be grasped. Painting inherently acknowledges this fundamental limitation. This doesn't simply imply that representation doesn't equal replication. Because it is an object that cannot be grasped, the essence of pictorial representation is that in the end, only scenes are left where one cannot tell where it is, as in Night Driving, and where one does not know what it is, as in Summer Green Blanket. Similar to the circles etched (rather than drawn) on the rippling surface of Snowman, painting can only commence anew when attempting to somehow fix the enigmatic elements floating like illusions within the painting. The artist’s 'desire to capture things that are not clear beyond what is clearly visible' (from the artist’s note) only supports this endeavour.
저 멀리에서 하늘과 바다가 만나는 곳, 아무리 다가가도 조금도 가까워지지 않는 그곳, 즉 수평선은 가닿을 수 있거나 붙잡을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시공간이라는 인식 체계 안에서, 경이롭고 아름다운 저 얇은 선의 존재란 위치와 거리의 문제가 아니라는 뜻일 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눈은 수평선을 본다. 그 존재는 시각적으로 명징하다. 빛의 반사와 투과를 순간순간 반복하는 일렁이는 수면 또한 그러하다. 물의 안과 밖이 끝임없이 겹쳐지기에, 수면은 물 그 자체도 아니지만 물의 안도 아니고 밖도 아니다. 하지만 분명히, 우리는 언제나 수면을 바라본다. 붙잡을 수 없으나 시각적으로 명징한, 이러한 양가성을 회화적으로 재현하는, 이번 전시 《수평선》은 그리하여 그 자체로 회화적이다.

회화적 재현이란 기본적으로 어떤 시각적 대상을 캔버스 위에 물감으로 고착시키는 일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앞서 말했듯 수평선이나 수면은 붙잡을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회화란 이러한 근원적 실패를 전제로 하는 일이다. 단순히 재현은 복제가 아니다라는 뜻이 아니다. 붙잡을 수 없는 대상이기에 결국 < 밤 드라이브 >에서처럼 어디인지 알 수 없고 < 여름정원 >에서처럼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장면만이 남겨지는 것이 회화적 재현의 요체인 셈이다. < 스노우맨 >의 일렁이는 표면에 (그려진 것이 아니라) 새겨진 동그라미들처럼, 회화 안에서 환영처럼 떠도는 알 수 없는 그것들을 어떻게든 고정시키려 할 때에서야 회화는 다시 시작될 수 있다. 작가의 “선명하게 보이는 것 너머에 명확하지 않는 것을 담아보고 싶은 마음”(작가 노트)은 거들 뿐.